야생화 이야기

더덕맨님의 식물분류 기본용어의 이해

윤라파엘 2010. 2. 8. 18:53

 

 저자 = 중앙에 모자 쓰신분

식물분류 기본용어의 이해
(이 내용의 원문은 야샤모 공부합시다  532번 게시글 옮김입니다.

              이곳으로 들어오시는 분들과 함께 공부하는 의미로 인용합니다)

 

여러가지 분류방법이 있지만 린네,다윈등의 영향과 과학의 발달로 생물진화과정에 따른 생물의 체계적분류의 필요성에 의한 계통분류학이 정착되어있음.
 *진화란 주어진 환경에 순응하여 가장쾌적한 삶을 유지하며, 성공적인 종족보존을 가능케하는 생물만이 갖는 고유한 노력을 말한다.
분류의 기본단위는
계(界-kingdom)
  무생물계-우주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물리,화학적반응에 수동적인 물질군.
  생물계-우주의 극히 미세한부분을 담당하며 물리,화학적반응에 대한 스스로의 통제기능이 있고, 종족보존에 생의 상당부분을 할애할수있는 물질군. 즉 이통제기능을 삶이라 한다.
   동물아계-기 합성된 유기물로 기본적인 에너지를 획득하며, 세포막에 의한 기본구조를 갖고있어  내부골격(척색동물) 또는 외부골격(각피동물)으로 형태를 유지한다. 자손의 안전성에 중점을 두어 진화하며, 환경인자에 의한 변이가 30-40%를 차지한다.
   식물아계-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을 자체적으로 합성하여 기본적인 에너지를 획득하며, 세포벽에 의한 기본골격을 유지한다. 목부조직의 유무에 따라 초본과 목본으로 인위적분류를 하기도하며,   성(性)에너지의 절약에 중점을 두어 진화하며, 환경인자에 의한 변이가 60-70%를 차지하여 변이가 동물보다 쉽게 일어난다.
 *초본과 목본: 목부조직의 형성여부로 판단하나, 온대지방의 경우, 동계에 지상부의 일부라도 살아남아 다음해 봄에 지상부조직에서 싹을 티울수 있는 식물군. 사철쑥, 더위지기, 백리향등이 이런      근거로 목본으로 분류함.
문(門-Division)
  무관속식물문-단세포~조류를 포함하며, 포자로 번식하고 주로 수생식물이다.
  유관속식물문-관속에 의한 수분및 양료이동이 가능하며, 정상적인 뿌리를 갖고, 뿌리에서 흡수한 수분을 상부로 이동하며, 상부에서 합성한 영양물질을 하부로 이동시켜 생활하며, 진화정도에 따라 포자식물(은화식물), 종자식물(현화식물)로 나누어진다. 솔입난아문, 석송아문, 속새아문, 양치식물아문으로 나뉜다.
   양치식물아문은 고사리강, 나자식물강, 피자식물강으로 나뉜다.
 *포자란 자,웅의 단일염색체(N)를 갖고있는 불완전한세포로 모체에서 분리된후, 자,웅세포의 접합으로 발아한다. 체외수정의 한형태이며,대표적인 예는 버섯류의 균사와 자실체의 관계이다.
 *종자란 모체에서 수정이 된 완전세포(2N)로 모체에서 분리되면 하나의 독립된개체로 성장가능한  세포를 말한다.
강(綱-Class)
  고사리(은화식물)강-포자에 의해 번식하며, 꽃이 없고, 포자낭 또는 자실체(쇠뜨기,고비등)를 만들어 포자를 생산, 번식한다.
  나자식물강-주로 풍매로 수정하여 성세포의 낭비가 무척심하며, 결실에도 긴시간이 소요되는 비교적 원시적인 식물로 소철아강, 구과식물아강으로 나눈다.
   구과식물아강-은행목, 구과목으로 나뉜다.
   피자식물강-미나리아재비과를 기본종으로 추측하며, 화관,꽃받침,암술,수술등의 꽃의 형태가 완성되어진 식물군으로 일부종류가 풍매로 수정하는것을 제외하면 주로 충매등 동물을 이용하여   수정하며, 이를 계기로 급속한 분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것이 현식물학계의 시각이다.
 *현화식물-종자로 번식하고 나자~피자식물로 나누며, 정상적인 자,웅의 성기관을 갖추어 종자로 번
    식하며, 일부는 주아,인경,덩굴,뿌리등으로 무성생식도 하여 부족한 결실을 보완하기도 한다.    단자엽식물아강-대부분 초본이며, 발아시 1개의 떡잎이 나오며, 생장은 절간생장을 하여 직경생장이 거의없고, 관속은 주로 산공재이고, 잎은 평행맥으로 구성되며 꽃잎의 수는 3, 또는 3의  배수로 개화,결실후 지상부가 대개 고사한다. 풍매화(부들~벼목), 충매화(백합~난초목)로 구분 할 수 있다.
   쌍자엽식물아강-발아시 2개의 떡잎이 나오며, 형성층을 중심으로 체적생장을 하며, 잎은 그믈맥 이고, 꽃잎은 대부분이 4,5 또는 그의 배수이며, 매우빠른 환경적응력으로 종의 분화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있다. 꽃의 형태에 따라 이판화군 합판화군으로 나누기도한다.
 *현화식물의 출현을 중생대후기로 추정하며, 그이전까지는 식물은 동물의 일방적인 피해자로부터 동물을 이용, 타협, 협조자로, 때로는 명령자로 되어지는 변이로 식물의 분화가 급속히 이루어졌     다는 견해가 대두되고있다. (마이클 폴란의 ‘욕망하는 식물’등..)
목(目-Order)
  분류의 구체적인 개념으로, 비교적 최근까지 동일조상을 갖고있던 관계로 생태,생리,형태등에서 매우 흡사한 형태를 갖는다.
  단자엽식물아강=부들목~벼목은 풍매화로 비교적 원시형태이며, 백합목~난초목은 충매화로 진화된  형태로 본다.
  쌍자엽식물아강=꽃의 형태를 기준으로 후추목~층층나무목은 이판화군, 진달래목~초롱꽃목은 합판화군으로 편의상 나누며, 이판화군중 풍매화로 비교적 원시형태인 참나무목까지를 유이화서(꼬리화서)군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과(科-Family)
  목(目)을 형태학적으로 세분한 분류의 단위로, 하위분류단위인 속(屬)의 한 집단이며 일률적인 특색을 나타내는것들로 매우 가까운 근연종임을 나타낸다.
  예:초롱꽃목-초롱꽃과 숫잔대과 국화과로 나뉘며 국화과는 다시 엉거시아과, 민들레아과로 나눈다.
속(屬-Genus)
  과(科)를 다시 세분한 분류단위로, 하나의 동일선조에서 출발하였다고 생각되는 몇 개의 가까운종 의 집단으로 간혹 속간교잡도 종류에 따라 가능할정도로 가까운 관계이다.
   예:민들레아과-조밥나물속 왕고들빼기속....개보리뱅이속등 7개의 속으로 나눈다.
종(種-Species)
  분류의 기본단위로 자신의 형질을 후손에게 계승시킬수있는 생태학적,형태학적으로 뚜렸한 식물군으로, 서로 수정하여 정상적인 자손을 낳을 수 있고, 그들이 다시 정상적인 자손을 낳아 연속적
  인 번식이 가능한 개체들을 말한다. 종아래에 변종(variety), 아종(subspecies), 품종(forma)을 두 기도 한다. 변종까지는 독립적인 종으로 간주한다. 식물의 특성인 환경인자의 영향으로 동일종이나 크기,잎,지역적,계절적변이등으로 필요이상의 분류를 하기도 한다.

명명법-식물의 작명은 국제적으로 인증된 소수의 식물분류학자에 의해 명명되어지며, 라틴어로작성되며 종=속명+종명+명명자
       변종=속명+종명+명명자 + v. 변종명+명명자
       아종 및 품종=속명+종명+명명자 + sub. 또는 for. 변종명+명명자로 표기하며
         속명의 첫글자는 대문자로, 종명등은은 소문자로, 명명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예1: 달래 Allium monantum Max. (1개의 꽃을가진 맵고 냄새나는 풀-고대 캘트어에서 유래)
        산마늘 Allium victorialis v. platyphyllum Makino (넓은잎을 가진 승리상징의 매운풀)
        마늘 Allium sativum for. pekinense Makino (북경에서 개량한 재배하는 매운풀)
   예2: 인동덩굴 Lonicera japonica Thumb. (16세기 독일 박물학자(아담 로니체라)를 기념하여, 일본에서 발견한 덩굴을 Thumbergi가 명명함)
        털인동 Lonicera japonica v. repens Rehder (땅을 기는 인동, Rehder가 명명함) 
        잔털인동 Lonicera japonica for. chinensis Hara (중국에서 개량한 인동, Hara가 명명함)
 참고: 백합(百合):백합병=백맥(百脈)의 합병. 백합상한증이라하며 중병후 회복되기전에 열증이 남아  있는데도 공하(攻下)하거나, 음증이 있는데도 발한(發汗)시켜, 먹지못하고 눕거나 걷지못하고  한기를 느끼나 춥지않고, 더우나 열이 없고 입이 쓰고 소변이 붉고 약을 먹으면 토하는 증세에 쓰이므로 백합이라한다.
       수련(睡蓮): 3일간 낮에는 피고, 밤에는 다물어, 잠잘수있는 연꽃이란 의미.

 작명방법-한글이름(지방명)은 대개 다음방법에 의해 작성되어진다.
   1.발견장소부근에서 불리워지는 이름(전설,형태,유래,용도등이 포함된다).
     전설,유래-할미꽃, 꽃며느리밥풀, 오리나무, 하수오, 나도밤나무등,
     형     태-인삼, 노루귀, 끈끈이주걱, 통발, 개불알풀, 병아리꽃, 얼레지, 층층나무등
     특     징-누리장나무, 누린내풀, 계요등, 상사화, 양지꽃, 질경이, 물푸레나무, 옻나무등.
     용     도-잣나무, 참나물, 바디나물, 파리풀, 된장풀, 당귀, 백합, 쇠뜨기, 황칠나무등,
     장     소-섬, 한라, 지이, 만주, 고산, 갯, 물, 바위...+이름

   2.동일속의 대표종과의 형태적,지역적차이등을 고려하여 작명됨.
     기름나물→갯기름나무, 송이풀→만주송이풀, 나도송이풀
     망초→개망초, 실망초.  명아주→청명아주, 취명아주, 가는명아주.
     초롱꽃→섬초롱꽃, 금강초롱,  밤나무→나도밤나무, 너도밤나무.
 
   3.주변국가의 근계종의 비교검토후 작성됨.
     가시나무, 당단풍, 당느릅, 일본목련, 미국자리공, 리기다소나무등.

   4.원산지의 이름이 그대로 불리기도 한다.(특히 약용,원예종에 많다)
     연, 천궁, 궁궁이, 모란, 만삼, 오가피, 부용, 여로, 천마, 맥문동, 천문동등
  
   5.발견자나 그식물의 전파에 공이 큰 사람의 이름을 기념하는 이름으로도 작성된다,
     수호초, 음나무, 현사시, 하수오, 두충등,

 식물검색의 방법.
  1.검색을 목적으로 채집을 할 경우 꽃(열매)+잎+줄기+뿌리를 갖춰야 완전표본으로 간주되는 이유 는 꽃(생식기관)의 변이가 가장작아, 표본에는 꽃이 필수이다.
  2.꽃이 없을 경우 열매가 차선책이며
  3.잎이나 기타부위는 지역적,계절적변이가 매우많아 개략적인 검색은 가능하나 오판하기가 쉽다.